반응형
IDE 프로그램(라이더 같은..)에서 프로젝트를 실행하고, 메뉴에서 Editor / Game 을 골라서 디버그 및 실행이 가능해 진다.
말그대로 Editor 로 선택 시 언리얼엔진과 에디터에서 실행되게 되고, Game을 선택시 최종 패키징 된 빌드가 실행되게 된다.
타깃과 구성 별로 고를 수 있으며, 최대한 많은 문제를 잡아 내기 위해서는 Debug 모드로 실행하는게 좋은데, 여러가지 문제를 뒤지느라 프레임이 많이 떨어지게 된다.
반대로 Shipping 모드로 할 경우 디버그가 아예 안되게 막혀있고, 프레임이 가장 잘 나오게 된다.
반응형
'자체 개발 > Unreal 빌드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포인터 개념을 이해하자. (0) | 2024.11.26 |
---|---|
AutogenShaderHeaders.ush 삭제 조심 (0) | 2024.11.25 |
소스코드 빌드 성공 후 각 폴더의 역할을 잘 파악하자. (0) | 2024.11.23 |
패키징시 플러그인 충돌과 GameFeatureData 를 주의하라. (0) | 2024.11.20 |
visual studio 2022 가 잘못 깔렸을 경우 다시 까는 방법 (0) | 2024.11.18 |